매달 월급을 받고 기뻐하지만, 왠지 작년보다 생활이 더 빡빡해진 느낌이 드시나요? 동일한 월급이지만 장바구니 물가는 조금씩 올라가고, 결국 실질적인 구매력은 감소하는 현상... 이것이 바로 '물가 상승률'의 영향입니다. 특히 경제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물가 상승률 2%'라는 숫자, 과연 이 수치가 우리 실생활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우리의 자산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물가 상승률과 인플레이션의 기본 개념물가 상승률, 또는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쉽게 말해, 작년에 1만 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이 올해는 1만 2천 원이 되었다면, 물가 상승률은 20%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