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1월 25일, 화요일) 미국 증시 마감 상황

재테크 실전 가이드

오늘(11월 25일, 화요일) 미국 증시 마감 상황

트렌드X 2025. 11. 26. 09:34
반응형

11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AI 기대감 지속소비 지표 둔화라는 상반된 재료 속에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하며 강력한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다우 지수가 650포인트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강세를 주도했습니다.

 

 

1. 오늘 마감된 미국 증시 요약

장 초반 기술주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한 변동성이 있었으나, 금리 인하 기대감 재부상 및 기업 실적 모멘텀에 힘입어 전일의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수 마감 수치 변동 (포인트) 변동 (%)
다우 산업 47,156.66 +730.00 +1.57%
S&P 500 6,768.02 +60.76 +0.91%
나스닥 종합 25,023.79 +144.51 +0.58%

출처: Investopedia, Trading Economics 등 (2025년 11월 25일 현지시간 마감 기준)

 

 

2. 주요 상승 요인 분석

  • 연준(Fed) 금리 인하 기대감 재확대 (시장 확률 약 85%): 혼합된 경제 데이터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연준이 다음 달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약 85%**로 높게 반영했습니다. 이는 채권 금리의 하락을 유발하며 주식 시장 전반, 특히 성장주에 대한 투자 심리를 크게 개선시켰습니다.
  • AI 및 대형 기술주의 모멘텀 지속: 전날 '제미나이 3.0' 발표와 함께 급등했던 대형 기술주들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며 시장에 강력한 매수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나스닥 지수 상승 견인)

긍정적인 기업 실적 및 전망 (리테일 부문): 일부 유통 기업들의 강력한 실적과 연간 전망 상향 조정이 소비 시즌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높여 다우 지수 및 소비재 업종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3. 특징 종목, 업종 분석

1) 특징 종목 (The Magnificent Seven 및 AI 대형주)

AI 칩 경쟁 우려 속에서도 알파벳과 메타가 강세를 보였고, 유통업체들의 실적 호조가 두드러졌습니다.

기업명 주요 내용 주가 변동률
알파벳(GOOGL/GOOG) Meta의 칩 고려 소식 및 Gemini 3 기대감 지속 +3.85%
엔비디아 (NVDA) 경쟁 심화 우려 및 차익 실현으로 하락 -2.6%
메타 플랫폼스 (META) Google AI 칩 고려 보도에 따른 시장 반응 +3.8%
브로드컴 (AVGO) 전일 급등에 이어 추가 상승 (Google 주요 고객) +2.48%


2) 특징 종목 이외 S&P 500 내 주요 급등주: Kohl's(+42.53%), Abercrombie & Fitch(+37.54%) 등 유통주가 강력한 실적 발표로 폭등.

 

3) 특징 업종 (S&P 500 섹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헬스케어, 소재 업종이 강세를 보였으며, 기술 업종은 일부 종목의 차익 실현에도 불구하고 견조했습니다.

업종 변동률 주요 특징
통신 서비스 (Communication Services) +3.5% 대형 기술주(알파벳, 메타)의 강세에 힘입어 가장 큰 상승폭 기록.
헬스케어 (Health Care) +2.0% 내외 일라이 릴리 등 제약·헬스케어 섹터의 긍정적인 실적 및 가이던스.
소재 (Materials) +1.8% 내외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경기 민감주 선호 심리 회복.
기술 (Technology) +1.0% 내외 엔비디아, AMD 등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AI 모멘텀이 지지.

 

 

 

4. 향후 증시 전망 및 관전 포인트

  • AI 랠리의 '지속 가능성 vs 변동성': AI 테마는 강력한 성장 동력이지만, 엔비디아와 알파벳 간의 칩 경쟁 심화 등 내부 변수가 노출되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을 통해 AI 투자가 실제 수익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것입니다.
  • 금리 인하 시점 및 경제 지표: 시장은 이미 12월 금리 인하 기대를 높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발표될 소비자 물가 지수(CPI) 및 고용 보고서 등의 경제 지표가 이 기대감을 뒷받침할지 여부가 단기적인 시장 방향을 결정할 핵심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 경기 방어주 대비 성장주의 우위 지속: 금리 인하 기대와 AI 모멘텀이 유지되는 한, 대형 기술주 중심의 성장주가 경기 방어주 대비 우위를 점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