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용어 쉽게 이해하기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 어디까지가 최선일까?

트렌드X 2025. 5. 18. 17:00

출근해서 커피 한 잔 마시고 책상 앞에 앉았을 때, 새로 합류한 팀원 덕에 오늘은 더 수월하겠다고 기대했던 적 있으신가요? 그런데 일은 여전히 많고, 오히려 커뮤니케이션 문제로 더 복잡해진 느낌을 받은 적도 있죠. 바로 이럴 때 ‘한계생산’이라는 개념이 떠오릅니다.

 

우리는 ‘사람을 더 투입하면 생산성이 더 올라갈 거야’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학에서 이 현상을 설명해주는 핵심 개념이 바로 ‘한계생산(Marginal Product)’입니다.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1. 한계생산이란? – ‘한 명 더’가 만들어내는 추가 결과

한계생산이란, 어떤 생산요소(예: 노동자)를 한 단위 더 추가했을 때 늘어나는 **산출량(생산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빵집에서 제빵사 한 명이 하루에 100개의 빵을 만들고 있다가, 제빵사 한 명을 더 채용했더니 총 180개의 빵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면, 두 번째 제빵사의 한계생산은 80개입니다.

즉,

한계생산 = 추가된 산출량 ÷ 추가된 생산요소

 

그런데 중요한 건, 이 수치가 항상 일정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어느 순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죠. 이걸 '수확체감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2. 왜 사람을 더 늘렸는데 생산성이 떨어질까?

처음에는 팀에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면 전체적인 업무 효율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팀원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곤 하죠.

  • 업무 중복: 비슷한 일을 두 사람이 동시에 하게 됨
  • 조율 비용 증가: 회의 시간, 소통 비용이 커짐
  • 공간·자원 제약: 장비, 사무공간이 부족해짐

이처럼 생산요소를 늘리더라도 생산량이 더 이상 크게 늘지 않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시점이 옵니다. 이럴 때의 추가 인력은 실질적인 '손해'가 될 수 있는 거죠.


3. 현실 속 사례로 이해하는 한계생산

저는 예전에 부서에서 인턴을 처음 받았을 때를 떠올립니다. 한 명일 때는 오히려 제 일손이 줄었고, 함께 협업하면서 효율도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두 명, 세 명이 되니 오히려 업무 분장이 애매해지고, 제가 신경 써야 할 일이 늘더군요.

 

결국 팀장님과 논의해서 인턴의 수를 줄이되, 각자에게 더 명확한 역할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바꿨고, 생산성이 확실히 개선됐습니다.

이 경험이 바로 한계생산이 감소하는 구간을 체감한 순간이었죠.


4. 기업과 개인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

한계생산은 단순히 생산 현장뿐만 아니라, 비용 대비 효율을 따지는 모든 상황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회사 경영: 인력, 장비 투자 결정 시
  • 직장인의 시간 관리: 공부, 업무, 휴식 비율 조정
  • 자영업자의 매장 운영: 알바 고용 여부 판단

예컨대, 야근을 1시간 더 한다고 해서 업무 성과가 1시간치 더 나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피로 누적으로 성과가 떨어지는 경우도 많죠. 시간이라는 자원의 한계생산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5. 마무리 – 무조건 많이가 아닌, 효율적 배분의 시대

지금 우리는 ‘열심히 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일하는 것’**이 더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한계생산은 바로 그 효율성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어줍니다.

 

‘하루 12시간 일하는데 왜 성과가 늘지 않지?’
‘인력을 더 뽑았는데 왜 일이 더 복잡해졌을까?’

 

이런 고민이 들 때, 한계생산의 개념을 떠올려 보세요. 답은 더 많이가 아닌, 어떻게 배분하고 조율하느냐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핵심 정리

정의 한 단위의 생산요소를 추가했을 때 늘어나는 산출량
공식 한계생산 = 추가된 산출량 ÷ 추가된 요소
특징 초반엔 증가,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 (수확체감)
실생활 활용 인력 채용, 시간 관리, 업무 배분 등 모든 생산성과 효율에 적용 가능
 

혹시 요즘 여러분의 시간이나 자원도 '한계생산이 줄어들고 있는 구간'에 있지 않나요?
필요한 건 더 많은 노력이 아니라, 더 나은 선택과 조율일지도 모릅니다.

 

 

평균생산(Average Product)을 통해 바라보는 나의 생산성: 일은 많은데
평균생산(Average Product)을 통해 바라보는 나의 생산성: 일은 많은데
총생산(Total Product), 경제 활동의 시작점이 되는 개념
총생산(Total Product), 경제 활동의 시작점이 되는 개념
생산함수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경제 개념 정리
생산함수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경제 개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