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가치'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화폐가치 4

초인플레이션 뜻과 사례 - 짐바브웨 100조 지폐가 된 이유

마트에서 라면 하나 사려고 했는데 가격표를 보고 깜짝 놀란 경험, 있으신가요? 몇 달 전과 비교해 눈에 띄게 오른 물가를 보며 '이게 인플레이션이구나' 싶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닐 텐데요. 그런데 만약 라면 한 개가 하루 사이에 두 배, 일주일 사이에 열 배로 뛴다면 어떨까요? 상상만 해도 아찔한 이런 상황이 바로 초인플레이션입니다. 1. 초인플레이션의 정의와 기준초인플레이션은 단순히 물가가 많이 오르는 것을 넘어서 완전히 통제 불가능한 수준으로 치솟는 현상을 말합니다.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월 인플레이션율이 50%를 넘어가면 초인플레이션으로 분류하는데요, 이는 연 인플레이션율로 환산하면 무려 12,875%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회사에서 월급을 받은 지 한 달도 안 됐는데 그 돈의 가치가 절반으로 줄..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내 월급과 자산에 미치는 상반된 영향 총정리

어제까지 3,000원이던 커피가 오늘은 3,500원이 되었을 때, 혹은 반대로 기다리던 전자기기 가격이 예상보다 크게 내려갔을 때. 이런 경험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이것이 바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우리 일상에 스며드는 방식입니다. 두 경제 현상은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경제 현상의 차이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쉽고 현실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란? 기본 개념과 핵심 차이인플레이션(Inflation)과 디플레이션(Deflation)은 경제의 물가 수준 변화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현상입니다.인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동일한 ..

금과 은, 옛날 화폐가 경제를 움직인 방식 (국부론-연재13)

"세계 경제의 기초가 된 화폐의 역사,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오늘날 우리는 종이 화폐나 신용카드, 심지어 모바일 결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 백 년 전만 해도 금과 은이 실물 화폐로서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통해 금과 은이 어떻게 세계 경제를 움직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화폐의 시작, 금과 은은 왜 선택되었나?물물교환 시대를 떠올려보세요. 내가 가진 사과 10개와 상대방의 생선 2마리를 교환하려면, 서로가 원하는 물건을 가지고 있어야만 거래가 성립됩니다. 이런 '욕구의 이중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화폐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금과 은이었을까요?금과..

화폐의 기원: 물물교환에서 돈으로 바뀐 이유 (국부론-연재11)

출근길, 편의점에서 무심코 카드로 결제하며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만약 이 커피 한 잔을 내가 직접 만든 무언가와 교환해야 한다면 어떨까?' 그리고 바리스타가 '죄송합니다만, 저는 지금 당신이 만든 것이 필요하지 않네요'라고 한다면? 화폐가 없던 시절, 이것이 바로 우리 조상들이 매일 겪었던 현실이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화폐의 기원과 물물교환에 대해 알아볼께요. 1. 물물교환의 한계와 문제점물물교환 시스템은 인류의 첫 번째 교역 방식이었습니다. 내가 가진 물건이나 서비스를 다른 사람의 것과 직접 교환하는 방식이죠. 하지만 이 시스템은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욕구의 이중일치(double coincidence of wants)'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A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