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실전 가이드
오늘(11월 24일, 월요일) 미국 증시 마감 상황
트렌드X
2025. 11. 25. 08:41
반응형
오늘(11월 24일, 월요일) 미 증시 마감 상황입니다.

1. 오늘 마감된 미국 증시 요약
| 지수 | 마감 수치 | 변동 (포인트) | 변동 (%) |
| 나스닥 종합 | 22,872.01 | △598.92 | +2.69% |
| S&P 500 | 6,705.12 | △102.13 | +1.55% |
| 다우 산업 | 46,448.27 | △202.86 | +0.44% |
주요 상승 요인 분석
오늘 미국 증시의 상승, 특히 나스닥의 급등을 이끈 핵심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보입니다.
1) 구글 '제미나이 3.0' 발표에 따른 AI 기술주 열풍
- 알파벳(구글 모회사): 구글이 인공지능(AI) 모델인 **'제미나이 3.0'**의 업그레이드를 발표하며 뛰어난 성능을 입증했고, 주가가 6.3% 급등했습니다.
- AI 관련주 확산: 구글발(發) AI 랠리가 브로드컴(+11.1%),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약 +8%), AMD(+5.5%),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4.8%) 등 AI 관련 기술주 전반으로 확산되며 나스닥 지수를 크게 끌어올렸습니다.
-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AI 칩 설계를 언급하며 4.2% 상승했습니다.
2) 연준(Fed)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 확대
- 연준 위원 발언: 뉴욕 연은 총재에 이어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와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등 연준 주요 인사들이 완화적인(비둘기파적) 발언을 쏟아내면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 12월 금리 인하 확률 상승: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하루 전보다 크게 높아져 **85.1%**까지 치솟으며 투자 심리를 개선했습니다.
2. 미국 증시 분석: 특징 종목, 업종
1) 특징 종목 (The Magnificent Seven 및 AI 대형주)
| 기업명 | 주요 내용 | 주가 변동률 |
| 알파벳(GOOGL/GOOG) | '제미나이 3.0'의 성능 향상 발표가 시장을 주도하며 강한 랠리 시현. | +6.33% |
| 테슬라 (TSLA) | 일론 머스크의 AI 칩 설계 및 기술 로드맵 언급에 힘입어 상승. | +4.24% |
| 엔비디아 (NVDA) | AI 생태계 전반의 낙관론 속에 상승 흐름 지속. | +2.90% |
| 메타 플랫폼스 (META) | AI 기술주 상승세에 동참하며 견고한 상승 마감. | +1.98% |
| 애플 (AAPL) | 상대적으로 상승 폭은 작았으나 전반적인 시장 강세에 동반 상승. | +0.75% |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AI 기대감 지속 및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 | +1.32% |
| 브로드컴 (AVGO) | AI 관련주로 분류되며 나스닥 지수 상승에 크게 기여. | +11.10% |
2) 특징 업종 (S&P 500 섹터)
오늘의 랠리는 기술(Technology) 업종이 압도적으로 주도했습니다.
| 업종 | 변동률 | 주요 특징 |
| 기술 (Technology) | +2.90% | 알파벳을 필두로 한 AI 관련 기업들의 급등으로 섹터 전체가 폭발적인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
| 통신 서비스 (Communication Services) | +2.45% | 알파벳, 메타 등 대형 기술주가 이 섹터에 포함되어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
| 임의 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 +1.50% | 테슬라의 강세와 전반적인 경기 낙관론의 영향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
| 에너지 (Energy) | -0.10% | 유가 변동에 따라 보합권 또는 약보합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습니다. |
3. 향후 증시 전망 및 관전 포인트
AI 주도 랠리의 지속성 여부
- 긍정적: '제미나이 3.0' 등 새로운 AI 기술이 실제 기업 실적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매우 강력합니다. 이는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을 지지하는 가장 큰 동력입니다.
- 관건: 다만, 단기 급등에 따른 과열 우려도 존재합니다. 이 랠리가 기술적 조정 없이 이어질 수 있을지가 주요 관전 포인트입니다.
연준(Fed)의 통화 정책 변화
- 금리 인하 기대: 연준 위원들의 최근 발언과 시장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약 $85\%$)은 증시에 매우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안정되거나 하락하면 성장주(기술주)의 가치 평가에 긍정적입니다.
- 주요 지표: 앞으로 발표될 **인플레이션 지표(CPI, PCE)**와 고용 지표가 연준의 실제 정책 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 지표들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될 것입니다.
기업 실적 모멘텀
- 양호한 실적: 현재까지의 실적 시즌은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은 실질적인 실적 개선이 뒷받침되는지 여부에 따라 변동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반응형